안녕하세요, 앵치입니다.
오늘은 GPT를 ‘더 똑똑하게’ 활용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
조금 더 고급 프롬프트 전략,
바로 "중간 단계 사고 유도법"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
GPT는 기본적으로 빠르게 정답을 줍니다.
하지만 그 정답이 진짜 깊이 있는 생각의 결과일까요?
✅ GPT의 기본 동작: “결론부터 말해주는 AI”
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렇게 물어요.
“GPT야, 이 문제의 답이 뭐야?”
“이 아이템이 잘 팔릴까?”
“글 주제 추천해줘.”
그러면 GPT는
답을 바로 줍니다.
하지만 이게 바로 문제입니다.
사고의 흔적이 없는 ‘정답’은 설명력을 잃게 되죠.
🤖 왜 ‘중간 사고 과정’이 중요한가?
- 사고를 거쳐야 진짜 검토가 가능
- 질문자의 맥락을 다시 반영할 수 있음
- 결론이 아니라, 생각의 단서들을 얻을 수 있음
즉, 중간 단계 사고를 유도하면
GPT는 훨씬 더 유연하고, 검증 가능한 사고흐름을 보여주게 됩니다.
🧠 다단계 프롬프트 구조 예시
아래는 한 가지 질문을
‘단계별 사고’로 유도한 예입니다.
❌ 일반 프롬프트:
“챗봇 서비스로 수익을 내려면 어떤 방법이 좋아?”
→ GPT: "구독 모델을 도입하거나 광고 수익을 고려하세요."
✅ 다단계 사고 유도 프롬프트:
1단계: 챗봇 수익화 방식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정리해줘.
2단계: 각각의 장단점과 리스크를 비교해줘.
3단계: 내가 가진 조건(초기 자본 적음, 트래픽 많음)을 기반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식을 골라줘.
마지막으로: 선택한 방식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보완 전략도 알려줘.
이런 식으로 사고 단계별로 질문을 구조화하면,
GPT는 훨씬 더 논리적이고 실제적인 답을 하게 됩니다.
🧩 프롬프트 구조화 팁 3가지
- 무조건 결론부터 묻지 말고, 분해 질문을 먼저 던지자
→ “이유를 먼저 정리해줘”, “장단점부터 비교해줘” - 조건을 명확하게 명시하자
→ “내 조건은 A, B, C야. 이걸 반영해서 판단해줘.” - 가정 실패 시나리오까지 묻자
→ GPT는 반례에 강하지 않기 때문에, 일부러 역질문을 넣는 게 유효합니다.
🎯 정리: GPT는 ‘단계별로 질문할 때’ 가장 인간처럼 생각한다
GPT는 한 번에 정답을 줄 수 있어도,
한 번에 ‘생각’하지는 않습니다.
우리가 단계별로 유도해야
비로소 GPT는 자기 사고 과정을 따라가기 시작해요.
앵치의 팁은 이겁니다:
“GPT는 답을 줄 준비는 항상 돼 있지만,
생각할 기회는 당신이 줘야 한다.”
'💡 사용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🤔 GPT를 ‘못 믿을 때’ 사용하는 프롬프트 - 잘못된 정보를 걸러내는 사용자만의 방패막이 프롬프트 모음 (8) | 2025.07.08 |
---|---|
✈ ChatGPT로 항공권 최저가 예약하는 프롬프트 6가지 - AI의 똑똑한 조언으로 ‘항공권 테크’ 타는 법 (10) | 2025.07.04 |
"어린이도 쓰는 GPT, 부모가 꼭 알아야 할 ChatGPT 사용 수칙 5가지” (9) | 2025.06.25 |
GPT가 자꾸 이상한 말 할 때 쓰는 마법의 문장 - “모르면 모른다고 해” 한 줄로 헛소리 줄이는 법 (13) | 2025.06.24 |
ChatGPT를 써도 글이 별로라고요? - 문제는 GPT가 아니라, 프롬프트입니다 (GPT 1000% 활용 프롬프트 사용법) (12) | 2025.06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