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앵치입니다.
오늘은 ChatGPT를 쓰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 하나를 다뤄보겠습니다.
“이거 사실 맞아?”
“그럴듯한데… 이상한데?”
“AI가 자신감 넘치게 말하는데, 뭔가 불안해요.”
이런 느낌, 받아보신 적 있으시죠?
GPT가 틀린 말, 과장된 말, 출처 없는 말을 자신만만하게 내놓는 이유는
바로 ‘확신하는 말투’를 만들어내는 학습 방식에 있습니다.
하지만 이걸 막는 방법이 아주 간단합니다.
바로 프롬프트에 “모르면 모른다고 말해줘” 한 줄을 넣는 것.
그럼 지금부터 왜 이 문장이 효과적인지, 언제 어떻게 써야 하는지 실제 예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🤔 왜 GPT는 ‘아는 척’을 할까?
GPT는 “정보를 판단”하지 않고,
‘많이 쓰인 단어의 조합’을 가장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방식으로 답을 생성합니다.
그러니 GPT가 아는 것보다 많이 본 표현, 사람들이 자주 쓰는 말투에 더 끌립니다.
이런 구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기죠.
- 모르는 질문에도 뭔가 말을 해버림
- 거짓이 섞여도 자신감 넘치는 말투
- 출처가 없는데도 단정적으로 설명
예:
“한국 최초의 아이돌은 누구야?”
→ “H.O.T입니다.”
(정확히 말하면 ‘최초’ 정의가 애매합니다. 여러 해석이 가능하죠.)
💬 “모르면 모른다고 해줘”의 마법
프롬프트에 **“확실하지 않으면 모른다고 말해줘”**라고 적는 순간,
GPT는 다음과 같이 반응을 조절합니다:
- 불확실한 주제에선 판단을 유보함
- 가능성 여러 개 제시하거나 “기록에 따라 다르다”는 말 추가
- 단정 대신 ‘~라고 알려져 있습니다’ 같은 어조 사용
예를 들어볼까요?
🔻 기본 질문
“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는?”
→ “수메르어입니다.” (끝)
→ 정보는 맞을 수도 있지만, 불완전함이 전혀 드러나지 않음.
✅ 리터칭 프롬프트
“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가 무엇인지 알려줘.
확실하지 않으면 모른다고 말해줘. 가능성 있는 사례만 근거와 함께 제시해줘.”
→
“기록에 따르면 수메르어가 가장 오래된 언어로 간주되지만,
초기 인류의 구어 언어는 문서로 남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순서를 단정하기 어렵습니다.”
→ 어조의 조심성 + 정보 신뢰도가 올라갔죠.
🛠 실전 팁: 헛소리 방지 프롬프트 3종 세트
목적 명령어
헛소리 방지 | “확실하지 않으면 모른다고 말해줘.” |
단정 방지 | “출처가 없으면 주장하지 말아줘.” |
비교 요청 | “한 가지로 단정하지 말고, 가능성을 비교해서 설명해줘.” |
이 세 줄만 잘 써도,
GPT의 “자신만만한 오류”는 70%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.
✍️ 어떤 상황에 써야 할까?
✔️ 역사, 문화, 정의 같은 질문
“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은?”
→ 정의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‘불확실성’ 포함 필요
✔️ 최신 기술/정책 정보
“2025년부터 바뀌는 건강보험 내용은?”
→ GPT는 2023까지 학습된 정보 기반으로 말하기 때문에 제한 인정 필요
✔️ 논쟁적이거나 정치적 주제
“최고의 대통령은 누구야?”
→ 의견 기반 → 중립성 필요
🧠 마무리하며
GPT는 답을 만들어주는 게 아니라, 말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계입니다.
그 말이 진짜 의미 있는 정보가 되려면,
우리는 그 말에 조건을 붙이고, 제한을 걸고, 의심할 수 있어야 합니다.
그 출발선이 바로 이 문장이에요.
“모르면 모른다고 해.”
프롬프트 한 줄이 결과의 질을 바꾸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,
꼭 기억해두세요.
이런 글도 있어요
💡 하루 10분! ChatGPT로 창의력 키우는 아이디어 질문 프롬 세트
💡 하루 10분! ChatGPT로 창의력 키우는 아이디어 질문 프롬 세트
ChatGPT 질문 프롬 세트안녕하세요, 앵치입니다! 🐥✨오늘은"ChatGPT로 아이디어 발상 훈련을 하는 실전 프롬 세트"를 소개할게요.매일 10분씩 가볍게 연습하면,창의력문제 해결력발상 전환 능력이
angchibbo.co.kr